안녕하세요? 정말 오랜만에 포스팅을 합니다.
Slack 에서 그동안 No Code 방식의 워크플로 빌더 기능을 통해서 자동화 등을 구현할 수 있다 라고 말씀드리긴 했는데, 사실 가장 난감했던 부분이 “선택” 에 따른 다른 조건의 단계들을 실행할 수 있냐는 질문을 받을때 였습니다. 예를 들어 승인/거부 프로세스 등을 만들때, 승인과 거부 중 선택에 따른 조건들을 하나의 워크플로로는 구현할 수 없었거든요.
그러나 Slack Workflow Builder 에서 어쩌면 가장 많은 요청을 받았던 Conditional Branch Workflow, 한국어로 하면 분기 조건 실행? 정도로 볼 수 있겠네요. 기능이 공식적으로 GA 되었습니다.

참고 : 모든 플랜에서 가능한건 아니고, Business+ v2, 엔터프라이즈 그리드, 엔터프라이즈+ 플랜에서만 사용가능합니다. 안타깝게도 Business+ v1 (AI 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플랜) 에서는 사용이 불가능 합니다.

간단히 요약하면 if / then 기능인거죠. if 조건에 따라서 다른 단계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예시 입니다. 버그 리포트 워크플로의 예 인데, 버그의 등급 (Critical, Medium) 에 따라서 다른 메세지가 채널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메세지 전송만 가능한건 아니고 워크플로에서 사용가능한 단계라면 무엇이든 가능합니다.

또 다른 샘플 입니다. 단순하게 구현한건데, 사용자가 입력 (선택) 에 따라서, 다른 단계가 실행됩니다.

좀 더 활용해본다면, 요청에 따라서 각각 다른 채널로 메세지를 보내는것도 가능하겠죠.
사용상의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Branch 단계는 항상 워크플로의 마지막 단계여야 합니다. 이 이야기는 Branch 뒤에는 새로운 단계가 포함될 수 없다는 이야기 입니다. (Branch 내에서는 가능)
- Nested Branch 는 불가능합니다. 풀어서 이야기 하면 분기 내에 또 다른 분기를 넣는것은 가능하지 않습니다.
참조 :
– https://slack.com/intl/ko-kr/blog/news/conditional-branching-workflow-builder
– https://www.slack.dev/introducing-conditional-branching-in-workflow-bui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