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byounghee.me

About Virtualization and Slack

Menu
  • 홈
  • About
  • Homelab
  • Review
  • Slack
  • vSAN
  • vSphere

[월:] 2017년 04월

vSAN disk 교체 절차

By Byounghee
|
2017년 04월 28일
| 댓글 없음
| VMware

vSAN 에서 disk failed 이 발생했을 때의 절차입니다.  Flash Disk failed Cache-tier 로 사용중인 Flash Disk 가 failed 되었을 경우, 해당 Disk group 이 unmount 되니 참고하세요. 아래의 절차대로 진행하지 않는 경우 vSAN 에서 예상하고 있는 Cache 의 양보다 적은 상태로 vSAN 이 동작하기 때문에 퍼포먼스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참고로, vSAN 의 장애테스트를 위해 […]

Read More »

Posted in %1$s Tagged %1$s Leave a comment

esxcli software profile or esxcli software vib?

By Byounghee
|
2017년 04월 28일
| 댓글 없음
| VMware

Command line interface 를 통한 esxi 호스트 업데이트를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커맨드는 아래와 같이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Esxcli software profile update (or install) Esxcli software vib update (or install) 같은 메이저 버전내에서 빌드가 바뀌는 Update 의 경우는 두가지 커맨드를 다 사용할 수 있고, upgrade (메이저 버전이 바뀌는 경우) 의 경우는 반드시 profile update […]

Read More »

Posted in %1$s Tagged %1$s Leave a comment

vSAN Network Design Guide

By Byounghee
|
2017년 04월 27일
| 1개의 댓글
| VMware

vSAN 6.6 의 GA 와 함께 따근한 vSAN Network Design Guide 가 나왔습니다. 페이지가 많아서 다 들여다 보기에는 쉽지 않습니다만.. 몇가지만 뽑아내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storagehub.vmware.com/#!/vmware-vsan/vmware-r-vsan-tm-network-design NO MORE MULTICAST vSAN 6.5 버전까지는 vSAN network 을 위해서 Multicast 의 사용이 Requirement 였는데, vSAN 6.6 버전에서는 더이상 Multicast 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기존에는 vSAN 내의 Master Node 로부터 다른 Node […]

Read More »

Posted in %1$s Tagged %1$s 1 Comment

VCSA Deployment – Part.2 DNS 설치

By Byounghee
|
2017년 04월 25일
| 댓글 없음
| VMware

Windows Server 2012 R2 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Role 추가 Role-based or feature-based installation 선택 현재 PC 선택 Roles 에서 DNS server 선택 -> Feature 에서는 따로 선택하지 않고 진행 설치가 끝나면 DNS Manager 로 이동 후 dns01 선택 후 우클릭  -> configure dns server 선택 Select Configuration Action 에서 2번째인 Create forward and reserve lookup […]

Read More »

Posted in %1$s Tagged %1$s Leave a comment

VCSA Deployment – Part.1 Sizing & deployment type

By Byounghee
|
2017년 04월 25일
| 3개의 댓글
| VMware

Bootstrapping vSAN without vCenter 포스트를 통해 vSAN datastore 를 생성하였으니, 다음에는 VCSA (VMware vCenter Server Appliance) 제품을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설치에 들어가기 앞서, vCenter 의 종류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면, 크게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Windows Based vCenter VCSA (linux based) 위의 두가지 종류가 있는데, vSphere 6.0 버전부터 VMware 에서 권고하는 것은 VCSA 입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제가 […]

Read More »

Posted in %1$s Tagged %1$s 3 Comments

Change queue depth for qlogic

By Byounghee
|
2017년 04월 25일
| 댓글 없음
| VMware

일부 스토리지 Vendor 사의 문서에, ESXi 6.0 에서 qlogic HBA 카드의 queue depth 를 조정할 때 쓰는 Parameter 값이 qlfxmaxqdepth 라고 되어있는 것 같습니다. 관련하여 문의가 있어서 한번 확인해보았습니다. 일단 KB 를 보셔도 됩니다. https://kb.vmware.com/selfservice/microsites/search.do?language=en_US&cmd=displayKC&externalId=1267 확인결과, ESXi 5.5, 6.0 버전에서는 qlfxmaxqdepth 가 아닌 ql2xmaxqdepth 를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습니다. qlfxmaxqdepth를 안쓰는건 아닌데, Qlogic HBA […]

Read More »

Posted in %1$s Tagged %1$s Leave a comment

vSAN Compatibility: I/O Controller

By Byounghee
|
2017년 04월 24일
| 댓글 없음
| VMware

이전에 올렸던 VMware Compatibility Guide – vSAN 의 연장선상으로 보셔도 됩니다. 현재 사용중인 I/O Controller 의 정보를 확인하고, vSAN 에서 지원되는 디바이스인지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현재 사용중인 esxi 버전 확인vmware -v -l 현재 사용중인 I/O Controller 정보 확인 – esxcli storage core adapter list vmhba1 – P440ar 인것을 확인할 수 있네요. 이것만 해도 충분할 수 있지만, […]

Read More »

Posted in %1$s Tagged %1$s Leave a comment

Bootstrapping vSAN without vCenter

By Byounghee
|
2017년 04월 23일
| 댓글 없음
| VMware

vSAN 을 구축하는 경우, 아무래도 vSAN 을 설정하는 화면이 vCenter 로 접근해야 볼 수 있기 때문에, vCenter 가 있어야 vSAN 설정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하시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렇다면 이런 의문을 가지고 계실 수도 있겠습니다. 아무것도 없는 환경에 신규로 vSAN 을 도입하는 경우, 즉 vCenter 도 새로 설치해야 하는 경우에는 어떻게 할 것인가? 여분의 Local VMFS datastore […]

Read More »

Posted in %1$s Tagged %1$s Leave a comment

VMware Compatibility Guide – vSAN

By Byounghee
|
2017년 04월 23일
| 댓글 없음
| VMware

일반적으로 vSphere 제품을 사용할 때는 VMware HCL (Hardware Compatibility List) 상에 존재하는 Hardware 및 Firmware/Driver 를 사용하라고 되어있는데요, vSphere 제품군에 대해서는 사실 그렇게 Strict 하게 적용이 되진 않습니다. HCL 에 없더라도 HCL 보다 높은 버전일 경우에는 사용을 해도 무방한 경우들이 있죠. 그 이유는 HCL 에 등록을 하기 위한 테스트는 VMware 가 아닌 해당 Vendor 사에서 […]

Read More »

Posted in %1$s Tagged %1$s Leave a comment

SD 카드에 ESXi 설치시 고려사항

By Byounghee
|
2017년 04월 22일
| 댓글 없음
| VMware

최근에는 서버내에 SD카드를 내장해서 OS 영역으로 쓰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 고려해야 할 사항 몇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SD 카드에 ESXi 를 설치할 경우 문제가 되는 부분이 Scratch partition 인데요, 그 이유는 SD 카드에는 VMFS Datastore 를 생성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설치후에는 Scratch Partition 이 Ramdisk 위에 올라가기 때문에, host reboot 시에 해당 파티션내의 파일들이 유실되는 […]

Read More »

Posted in %1$s Tagged %1$s Leave a comment

글 내비게이션

1 2 다음

메타

  • 로그인
  • 엔트리 피드
  • 댓글 피드
  • WordPress.org

Recent Posts

  • Slack Next-gen Platform – “channel_created” Event Trigger
  • Slack Next-gen 플랫폼이란?
  • VMware KB Written in Korean (2)
  • Slack Next-gen Platform – Built-in Forms
  • Slack Next-gen Platform – Scheduled Triggers

Recent Comments

  1. NUMA and Sub NUMA Clustering의 임성훈
  2. Migration options for a virtual machine are greyed out though vMotion is licensed (1029926)의 Byounghee
  3. Migration options for a virtual machine are greyed out though vMotion is licensed (1029926)의 ETC
  4. My thought on New vSphere 8 Release model의 Jack
  5. How to find Slack usergroup ID easily의 황준성

보관함

  • 2023년 1월
  • 2022년 12월
  • 2022년 11월
  • 2022년 10월
  • 2022년 9월
  • 2022년 8월
  • 2022년 7월
  • 2022년 6월
  • 2022년 4월
  • 2022년 2월
  • 2022년 1월
  • 2021년 12월
  • 2021년 11월
  • 2021년 10월
  • 2021년 9월
  • 2021년 6월
  • 2021년 5월
  • 2021년 4월
  • 2021년 3월
  • 2021년 2월
  • 2021년 1월
  • 2020년 12월
  • 2020년 11월
  • 2020년 9월
  • 2020년 8월
  • 2020년 7월
  • 2020년 6월
  • 2020년 5월
  • 2020년 4월
  • 2020년 3월
  • 2020년 2월
  • 2020년 1월
  • 2019년 12월
  • 2019년 11월
  • 2019년 10월
  • 2019년 9월
  • 2019년 8월
  • 2019년 7월
  • 2019년 6월
  • 2019년 5월
  • 2019년 4월
  • 2019년 3월
  • 2019년 2월
  • 2019년 1월
  • 2018년 12월
  • 2018년 11월
  • 2018년 10월
  • 2018년 9월
  • 2018년 8월
  • 2018년 7월
  • 2018년 6월
  • 2018년 5월
  • 2018년 4월
  • 2018년 3월
  • 2018년 2월
  • 2018년 1월
  • 2017년 12월
  • 2017년 11월
  • 2017년 10월
  • 2017년 9월
  • 2017년 8월
  • 2017년 7월
  • 2017년 6월
  • 2017년 5월
  • 2017년 4월
  • 2014년 12월
  • 2014년 1월
  • 2013년 12월
  • 2012년 6월
  • 2012년 5월
  • 2012년 4월

Powered by WordPress byounghee.me 2023 |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