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CSA 6.5 스케쥴 백업
VCSA 6.7 에서 추가된 기능중 하나가, VAMI 를 통하여 VCSA 의 백업을 스케쥴링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안타깝게도 VCSA 6.5 에서는 현재 latest 인 6.5 U2 에서도 해당 기능을 지원하지 않고 있어, 앞으로도 지원이 될지 안될지에 대한 여부를 알 수 없는 상태입니다. 다만 VAMI 를 통하지 않고, bash script 형태로 백업을 진행할 수가 있습니다. backup […]
VCSA 6.7 에서 추가된 기능중 하나가, VAMI 를 통하여 VCSA 의 백업을 스케쥴링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안타깝게도 VCSA 6.5 에서는 현재 latest 인 6.5 U2 에서도 해당 기능을 지원하지 않고 있어, 앞으로도 지원이 될지 안될지에 대한 여부를 알 수 없는 상태입니다. 다만 VAMI 를 통하지 않고, bash script 형태로 백업을 진행할 수가 있습니다. backup […]
제가 목격한 두번째 이슈입니다. 현재 VM 은 SC_Preferred_CentOS 라는 이름의 VM 이고, 정상적으로 Ping 이 가는 상태입니다. 물론 콘솔 접속도 정상적으로 되는 상태입니다. 위의 스크린샷을 보고 뭔가 좀 이상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이 있으신가요? vSAN 환경에서 하드웨어나 네트워크의 이슈로 인해서 문제가 생겼을 때, VM 이 정상적으로 동작할려면 모든 Components 중 50% 이상이 Active 상태여야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
nested 환경으로 vSAN Stretched Cluster 를 구성해서 이것저것 테스트 해보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Stretched Cluster 인만큼 Site Failure 시의 동작과정을 한번 볼려고 직접 구성해서 보고 있는데, 한가지 신경쓰이는 내용이 있어 다음과 같이 공유합니다. 현재의 실질적인 Network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Network 은 Preferred Site <-> Secondary Site 간도 L3 구성이고, Preferred or Secondary to Witness 도 L3 […]
https://kb.vmware.com/s/article/2113956 아마 VMware KB 중에 가장 많이 보셨던 KB 중 하나가 아닐까 합니다. 길게 설명은 되어있는데.. 요약하면 vmkernel.log 에서 아래 메세지의 발생과 함께, VMFS datastore 로의 Connectivity 에 문제가 생기는 이슈이죠. 아래로그는 구글에서 발췌한 것입니다만, 경험이 있으신분은 아마도 익숙하실겁니다. 2015-04-11T14:12:56.482Z cpu3:38545)HBX: 1929: ATS Miscompare detected between test and set HB images at offset 3387392 on vol ‘53003a80-2832c375-6a9a-0025b5a102cc’. […]
Powered by WordPress byounghee.me 2023 | All Rights Reserved.